본문 바로가기

정리

parseInt()

 

 

parseInt()

 

parseInt() 함수는 문자열 인자를 파싱하여 특정 진수(수의 진법 체계에서 기준이 되는 값)의 정수를 반환한다.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

 

 

 

 

 

구문

parseInt(string)
parseInt(string, radix)
string

 

파싱할 값이다. 문자열이 아닐 경우 ToString 추상 연산을 사용해 문자열로 변환한다.

 

radix

 

string의 진수를 나타내는 2부터 36까지의 정수이다. 기본 값이 10이 아니다.

 

 

 

설명

 

첫번째 인자(string)를 문자열로 변환하고, 그 값을 파싱하여 정수나 NaN을 반환한다.

radix가 10인 경우 10진수, 8인 경우는 8진수 등등으로 변환한다.

 

10진수 처리

document.writeln(parseInt("10")); // 10
document.writeln(parseInt("-10")); // -10
document.writeln(parseInt("10.9")); // 10
document.writeln(parseInt(10)); // 10
document.writeln(parseInt("10n")); // 10
document.writeln(parseInt("10nnn13")); // 10
document.writeln(parseInt("    10")); // 10
document.writeln(parseInt("10      ")); // 10
document.writeln(parseInt("k10")); // NaN
document.writeln(parseInt("")); // NaN

 

2진법, 16진법 등 다른 진법 처리

document.writeln(parseInt("10", 2)); // 2
document.writeln(parseInt("2", 2)); // NaN
document.writeln(parseInt("0xF")); // 15
document.writeln(parseInt("0XF")); // 15
document.writeln(parseInt("0XFkk")); // 15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시-해시테이블-해싱  (0) 2023.07.27
indexOf(), findIndex(), find()  (0) 2023.04.11
map()  (0)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