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5)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미지 브랜드 디자인과 3D 모티프 브랜드 디자인BI 아이덴티티에 3D 에셋이 들어가는 디자인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3D 에셋은 일러스트레이션, 아이콘, 모션, 브랜드 필름 등을 말한다. 예를 들어, UI 디자인에 사용되는 3D 아이콘이나 아트 워크 등은 가독성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넘나 당연!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브랜드의 톤, 아이덴티티, 브랜드 경험을 3D 에셋도 똑같이 일관되게 제공해 줄 수 있게 디자인을 해야 한다.매뉴얼 필요! 3D 모티프 개념 설정3D 모티프는 팀원들의 의사 합치를 위해, 클라이언트와 더 원활한 소통을 위해 제작하고 추후에 개발될 3D Assets의 일반적인 톤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작하는 일종의 무드보드이다. 어느 단계에서 필요할까? Brand IdentityDevelopment➡️Brand Design.. 실행 컨텍스트 실행 컨텍스트란? Execution Contenxt 코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객체이다. 여기에서 환경이란 코드 실행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나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코드 실행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나 상태를 모아둔 객체가 바로 실행 컨텍스트이다. ES3 지금처럼 실행 컨텍스트가 식별자 결정의 중심에 있지는 않았다. 당시에는 함수가 어디에서 호출되느냐에 따라 스코프가 달라졌다. 즉,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동적으로 그에 걸맞는 스코프를 생성하고 스코프 체인을 연결해 주어야 했다. ES5 이후 (2009년~) 식별자 결정을 위한 메커니즘이 변경되었다. 실행 컨텍스트라는 하나의 덩어리, 하나의 묶음으로 관리하도록. 스코프가 호출되는 위치와 상관없이 어디에 선언되어있느냐에 따라 정적으로 결정되고 하.. 항해커톤 후기 2023 항해커톤 후기 해커톤이란? 해커톤(hackathon)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의 직군이 팀을 이루어 제한 시간 내 주제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공모전이다. 일정 9/23(토) 오전 9시 : OT 및 출석 체크 오전 10시-오전 11시 : 1차 기업 설명회 원더윅스, ZEP 오후 1시-오후 2시 30분 : 2차 기업 설명회 이큐브랩,NCP(NAVER CLOUD PLATFORM), 호랑에듀 20분 기업 설명 + 10분 Q&A세션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커톤 과제에 대한 질문보다는, 기업 문화와 핏에 대한 질문을 해주세요. 오후 2시-오후9시 : 집중코딩시간 오후9시-오후10시 : 팀별 진척도 체크 9/24(일) 오전 2시-오전 .. JavaScript 런타임 📌 런타임이란? 런타임이란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의 종류로는 웹 브라우저(크롬, 파이어폭스, 익스플로러 등)프로그램과 Node.js 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 JavaScript - 싱글 스레드, 논-블로킹 언어 싱글 스레드 싱글 스레드는 하나의 힙 영역과 하나의 콜 스택을 가진다. 하나의 콜 스택을 가진다는 의미는 한 번에 한 가지 일 밖에 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요청을 한다면, 응답이 올 때까지 다른 일은 하지 못하고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다. 콜 스택 함수가 실행되는 순서를 기억하고 있다. 함수를 실행하려면 스택의 가장 위에 해당 함수를 넣게 되고, 함수에서 리턴이 일어나면 스택의 가장 위쪽에서 함수를 꺼낸다. 콜 스택 예제 콜 스택 에러.. useRef ・ Cookie 📌 useRef useRef란? useRef는 React에서 사용되는 Hook 중 하나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참조(reference)"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useRef를 이용하면 DOM 요소나 다른 React 컴포넌트에 접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될 때에도 유지됩니다. useRef의 주요 용도 DOM 요소에 접근: useRef를 사용하여 ref를 생성하면, 해당 ref를 특정 DOM 요소에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필요에 따라 해당 DOM 요소의 속성이나 메서드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변수 유지: useRef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면,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도 변수의 값이 유지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컴포넌트의 상태가 아닌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른.. 해시-해시테이블-해싱 해시란? 데이터를 관리/유지하는 자료구조 리소스 < 속도 데이터를 관리 및 유지하는 자료구조로 리소스를 포기하고 속도를 취한 자료구조이다. 해시 자료구조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정리해보자! 데이터를 해시 함수를 거쳐 테이블에 넣어야 한다. 어떻게 넣어야 나중에 보기가 편할까? 어떤 규칙이 있어야 할까? 똑같은 데이터가 올 때마다 똑같이 분류되어야 하는 규칙이 필요하다! 그 규칙성으로 정의된 것이 해시 함수이다. 데이터가 해시 테이블에 위와 같이 정리 되었을 때 해시 함수에는 어떤 규칙이 있었을까? 해시 함수는 /100 의 규칙을 가지고 있다. 123이라는 데이터가 왔을 때 나누기 100을 해서 1이라는 값이 나왔고, 그 값에 의해 해당 인덱스로 들어가게 된다. 해시 테이블이란? 데이터가 해시 함수를 거쳐 분.. require와 import ・ const 📌 require와 import "require"와 "import"는 JavaScript에서 모듈을 가져오는 두 가지 주요 방법입니다. 그러나 각각은 다른 모듈 시스템을 사용하고 다른 상황에서 사용된다. require "require"는 Node.js에서 주로 사용되는 CommonJS 모듈 시스템의 방식으로 모듈을 가져오는 데 사용된다. CommonJS는 동기적으로 모듈을 로딩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사용 방법: const module = require('module_name'); - 파일 상단에 위치하여 모듈을 가져옵니다. - 동적으로 모듈을 가져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if문, 반복문 등에 따라 다른 모듈을 가져오는 경우) - CommonJS 모듈 시스템은 서버 사이드(Node.js)에서 주로.. This ・ 브라우저 저장소 📌 This This란? this란 함수를 호출할 때 생성되는 실행 컨텍스트 객체다. this가 가리키는 대상은 어떻게 this가 호출되는지에 따라 다르다. 아래 상황별로 this의 의미를 나눌 수 있다. → 전역 공간에서의 this → 메서드로서 호출할 때 내부에서의 this → 함수로서 호출할 때 내부에서의 this → 콜백 함수 호출 시 내부에서의 this →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의 this 📌 브라우저 저장소 브라우저 저장소 분류 웹 스토리지(Web Storage) : 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키-밸류 형식의 저장소. 쿠키(Cookie)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키-밸류 형식의 저장소 웹 스토리지 웹 스토리지는 HTML5에 추가된 클라.. HTTP ・ Position 📌 HTTP HTTP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월드 와이드 웹의 토대이며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데 사용된다. HTTP는 네트워크 장치 간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며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계층 위에서 실행된다. HTTP를 통한 일반적인 흐름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서버에 요청한 다음 서버에서 응답 메시지를 보내는 작업이 포함된다. HTTP 요청에는 무엇이 들어있나? HTTP 요청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인터넷 통신 플랫폼에서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이다.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 각 HTTP 요청은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일반적인 HTTP 요청에는 다.. 이전 1 2 3 4 ··· 7 다음